조기은퇴를 위한 플랜

📈 장기 투자, 10년 이상이면 수익 승률 70%가 넘는다고?

sawdust-dividends 2025. 7. 21. 08:46

 

 

주식이나 ETF 같은 자산에 장기적으로 투자하신 분들 사이에서 흔히 들리는 말이 있습니다.

 

“10년 이상 꾸준히 투자하면 70% 이상의 확률로 수익을 보고,
20년 이상 투자하면 그 확률은 거의 90% 이상까지 올라간다.”

 

처음 들으면 너무 희망적인 이야기 같죠?

하지만 이 말은 단순한 투자 격언이 아니라, 통계적 데이터에 기반한 사실에 가깝습니다.

오늘은 이 내용의 근거를 찾아보고 함께 쉽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왜 장기 투자일수록 수익 확률이 높아질까?

 

주식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예측이 불가능한 움직임을 보입니다.

1년만 놓고 보면 상승할 수도 있고, 큰 폭으로 하락할 수도 있죠.

하지만 10년, 20년이라는 긴 시간으로 보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S&P500 지수를 살펴보면,

1926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했을 때

수익과 손실을 볼 수 있는 두 경우의 수에서 우리가 손실이 아닌 수익을 볼 확률은

  • 1년 보유 시: 약 70% 
  • 5년 보유 시: 약 80~85% 확률
  • 10년 보유 시: 약 90% 내외
  • 20년 보유 시: 100% 수익을 본 경우도 존재

 

즉,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손실을 볼 가능성은 급격히 줄어들고,

수익으로 전환될 확률은 점점 높아지는 것입니다.

 

 

💡 적립식 투자라면 더 안정적이다

 

위 통계는 대부분 일시불로 투자했을 때의 결과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하는 **적립식 투자(매달 일정 금액 투자)**는

시장 하락 시에도 꾸준히 저가 매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평균 매입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특히 변동성이 큰 장세에서 빛을 발합니다.

높을 때도 사고, 낮을 때도 사면서 전체적인 단가를 낮추기 때문이죠.

결과적으로, 장기 적립식 투자자는 단기 투자자보다 훨씬 더 낮은 리스크로

높은 확률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한국 시장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있다

 

미국 시장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한국의 코스피 지수코스닥 ETF, 또는 글로벌 ETF를 적립식으로 10년 이상 투자한 투자자들의 데이터를 봐도,

수익 확률이 70~80%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중간에 시장이 폭락하기도 하지만, 결국 다시 회복하고 성장해 왔기 때문입니다.

 

 

🛠️ 다만, 몇 가지 유의할 점도 있어요

 

  • 투자 대상이 중요합니다.예를 들어, 일본 닛케이 지수는 1989년 고점 이후 30년 가까이 정체된 사례가 있습니다.
  • 성장성이 낮거나 장기적으로 부진한 종목이나 ETF에 투자하면, 긴 시간에도 회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심리적으로 흔들리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중간에 불안해서 중단하거나 환매하게 되면, 장기 통계는 의미가 없습니다.
  • 장기 투자의 핵심은 끝까지 버티는 힘이죠.
  • 세금, 수수료, 환율 등 현실적인 요소도 고려해야 합니다.
  • 특히 해외 ETF에 투자하는 경우 환율 변동과 과세 체계가 최종 수익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결론 – 시간은 장기 투자자의 편이다

 

결론적으로,

10년 이상 장기 적립식 투자 시 수익 확률이 70% 이상,

20년 이상이면 90~100%에 가까운 확률로 수익을 본다는 이야기

과장된 허풍이 아니라, 실제 역사적 데이터에 기반한 이야기입니다.

 

시장에 오래 머무를수록 리스크는 줄어들고,

복리와 시간의 힘이 누적되기 때문이죠.

 

지금 당장 결과를 보려고 하지 말고,

꾸준히, 자동으로, 감정 없이 투자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미래의 나에게 가장 큰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