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식 투자에 관심은 있지만, 환전·세금·계좌 개설이 부담스럽다면?
📌 답은 바로 국내에 상장된 미국 ETF입니다.
요즘은 국내 증권사 계좌로도 손쉽게 미국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ETF 상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어 있습니다.
특히 미국 S&P500, 나스닥, 미국 배당주, 고배당 ETF 등 다양한 테마가 국내 ETF 형태로 상장돼 있어, 실질적으로 해외 직접 투자 못지않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죠.
1️⃣ 먼저, 국내 상장 미국 ETF가 뭔가요?
간단히 말해, 국내 증권거래소(KRX)에 상장된 ETF인데, 그 ETF가 추종하는 자산이 미국 자산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 국내에서 거래되는 ‘KODEX 미국S&P500’ ETF는 실제로 미국의 대표 지수인 S&P500을 추종합니다.
- 원화로 매매가 가능하며, 환헤지 여부도 선택된 상품들이 있어 투자자 입장에서 훨씬 접근성이 좋습니다.
2️⃣ 어떤 종류가 있나요?
국내 상장 미국 ETF는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테마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미국 대표 지수 추종형
- S&P500 추종형 ETF: 미국 대형주 500개로 구성된 시장 대표지수
예시: KODEX 미국S&P500, TIGER 미국S&P500 - 나스닥100 추종형 ETF: 테크 중심의 100대 기업
예시: KODEX 미국나스닥100, TIGER 미국나스닥100 - 다우존스30 추종형 ETF: 전통 대기업 중심
예시: ARIRANG 미국다우존스
💸 미국 배당/고배당 ETF
- 고배당 지수 추종형: 고배당주 위주로 구성
예시: TIGER 미국MSCI고배당커버드콜, KODEX 미국고배당커버드콜 - 배당 성장형: 꾸준히 배당을 늘려온 기업 중심
예시: TIGER 미국배당귀족,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 특별 전략형 ETF
- 커버드콜 ETF: 프리미엄 수익 + 배당
예시: TIGER 미국MSCI고배당커버드콜 - 리츠 ETF: 미국 부동산(REITs) 투자
예시: KODEX 미국리츠, TIGER 미국리츠
3️⃣ 과거 수익률은 어느 정도였나요?
물론 미래 수익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과거 성과는 투자 전략 판단에 도움이 됩니다.
- S&P500 추종형 ETF: 연평균 10% 전후의 수익률 (10년 기준)
- 나스닥100 ETF: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률이 더 크며 연평균 12~14%도 가능했던 시기 있음
- 배당 ETF: 연평균 5~8% + 배당수익 포함
- 커버드콜 ETF: 안정적인 월 배당, 연 7~9% 수익률 가능
※ 단, 커버드콜 ETF는 상승장에서 주가 상승은 제한됨
4️⃣ 운용사 브랜드에 대해 알아보자
국내 상장 ETF는 각 자산운용사가 기획·운용하고, 한국거래소(KRX)에 상장한 상품입니다.
이때 ETF 이름 앞에 붙는 브랜드는 해당 상품을 만든 운용사 이름을 뜻합니다.
브랜드별로 추종하는 지수, 운용 전략, 수수료, 테마 특화 등이 다르기 때문에
ETF를 고를 때 이 운용사별 특징도 꼭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 TIGER – 미래에셋자산운용
국내 ETF 시장의 2위 운용사.
📌 강점: 미국 지수형, 배당주, 리츠, 메가테마(AI, 반도체) 등 다양
- TIGER 미국S&P500, TIGER 미국나스닥100, TIGER 미국배당귀족
- 커버드콜 ETF, 월배당 전략 ETF도 다수 보유
🔵 KODEX – 삼성자산운용
국내 1위 ETF 운용사, ETF 시장을 이끌어온 대표 주자
📌 강점: 모든 지수 테마 커버, 운용자산 규모가 크고 안정적
- KODEX 미국S&P500, KODEX 미국고배당커버드콜
- 국내외 대표 주가지수, 원자재, 채권, 인컴 전략 전반
🟡 ARIRANG – 한화자산운용
비교적 테마 중심의 ETF 라인업에 강점
📌 강점: 글로벌 지수, ESG, 저변동성 전략 등
- ARIRANG 미국다우존스, ARIRANG 글로벌MSCI
- 소형 ETF 중심으로 전략형 상품 운용
🔴 SOL – 신한자산운용
최근 ETF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중
📌 강점: 미국 배당주, 커버드콜, 테마형 ETF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SOL 미국고배당커버드콜
- 월배당 전략, 프리미엄 수익 추구형 ETF 중심
🟢 KBSTAR – KB자산운용
은행 계열 운용사로, 안정적이며 테마형에 특화
📌 강점: ESG, 사회책임투자(SRI), 글로벌 인컴 등
- KBSTAR 미국S&P500, KBSTAR 글로벌고배당
- 원자재, 금 관련 ETF 등도 보유
⚪ HANARO – NH-Amundi자산운용
농협 계열 자산운용사로, HANARO ETF 브랜드 사용
📌 강점: 저비용, 농산물/원자재, 지속가능 투자
- HANARO 미국나스닥100, HANARO 미국고배당
- 최근 미국 ETF 관련 상품 확대 중
⚫ ACE – 키움투자자산운용
증권사 계열 운용사로, 독자적이고 전략적인 ETF 출시
📌 강점: 글로벌 섹터·테마형 중심, 트렌디한 상품 구성
- ACE 미국배당성장, ACE 미국친환경인프라
- 상대적으로 소형이지만 유연한 운용 전략
5️⃣ 국내 상장 미국 ETF의 장점
- ✅ 원화 투자: 달러 환전 없이 쉽게 접근 가능
- ✅ 세금 간편: 미국 현지 세금 신고 없이 국내 과세 체계로 해결
- ✅ 환헤지 선택 가능: 환위험을 줄이거나 감수할 수 있는 상품 존재
- ✅ 수수료 저렴: 일부 미국 ETF보다 총비용비율(TER)이 낮은 상품도 있음
✍️ 마무리하며
해외 주식이 부담스럽다면, 국내 ETF로 글로벌 분산 투자의 첫걸음을 시작해보세요.
미국 ETF에 투자하면서도 복잡한 외화계좌나 세금 문제 없이, 훨씬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습니다.
특히 S&P500, 나스닥100, 배당 ETF는 장기적으로 우상향의 가능성이 높아,
경제적 자유를 위한 기초 포트폴리오로 매우 유용합니다.
'조기은퇴를 위한 플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마하의 현인 워렌 버핏이 산 일본 주식은? 버크셔 해서웨이의 선택에서 배우는 일본 투자 인사이트 (8) | 2025.05.29 |
---|---|
🇯🇵 미국의 S&P500처럼! 일본 주가지수에 투자하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5.05.28 |
🇯🇵 일본의 장기 배당 성장주 – 미국과는 다르지만, 분명히 존재합니다 (11) | 2025.05.26 |
💰시드머니, 얼마나 있어야 유의미할까? 현실적인 전략까지 (22) | 2025.05.24 |
리얼티인컴 vs 맥쿼리인프라, 10년 투자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0) | 2025.05.23 |